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심리용어22

[심리용어] 노시보 효과(Nocebo Effect)란 무엇일까요? 노시보 효과는 플라시보 효과의 반대 개념으로, 환자가 치료나 약물에 대해 부정적인 기대나 불신을 가질 때, 실제로도 부정적인 증상이나 부작용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노시보'라는 용어는 라틴어로 '해를 끼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플라시보 효과가 긍정적인 기대에 의해 증상이 개선되는 것이라면, 노시보 효과는 부정적인 기대에 의해 증상이 악화되거나 새로운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노시보 효과의 정의와 연구 사례노시보 효과는 플라시보 효과와 함께 연구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플라시보 효과가 적극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20세기 중반부터, 부정적인 기대가 어떻게 신체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럽게 증가했습니다. 1.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연구- 이 기간 동안 심리학과 .. 2024. 5. 23.
[심리용어]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란 무엇일까요? 플라시보 효과는 가짜 약을 먹었거나 가짜 치료를 받았을 때, 실제로는 약이나 치료의 작용이 전혀 없지만 환자의 병이 호전되는 효과를 말합니다. 이 현상은 환자가 병이 나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믿음을 가지고 기대하는 마음 때문에 실제로 병세가 호전되는 심리적인 효과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두통이 있어서 의사에게 갔는데, 의사가 "이 약을 먹으면 두통이 나을 거예요"라고 하면서 설탕으로 만들어진 알약을 주었다고 해봅시다. 이 알약은 설탕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실제로 두통을 없앨 수 있는 성분이 전혀 없지만, 환자는 약을 먹고 두통이 사라질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두통이 실제로 사라질 수 있습니다. 플라시보의 시작 : 헨리 비처(Henry K. Beecher) 박사의 논문The Powerful Pla.. 2024. 5. 23.
[심리용어] 만족지연(Delay of Gratification)이란 무엇일까요? 오늘은 만족지연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만족지연이란, 나중에 얻게 될 더 큰 보상을 위해, 즉각적인 즐거움이나 욕구에 대한 유혹을 자발적으로 억제하고 통제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 개념은 자기 통제와 연결되며,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로 간주됩니다. 시험을 더 잘 보기 위해 TV를 보는 것보다 지금 공부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은 만족지연의 한 예입니다. 당장 하고 싶은 행동을 하지 않고 나중을 생각하며 참고 인내하는 능력이지요. 만족지연에 대한 가장 유명한 연구 만족지연의 개념은 1960년대부터 연구되어 왔으며, 심리학자 윌터 미셸이 스탠포드 대학에서 했던 '마시멜로우 실험'을 통해 주목받게 됩니다. 유명한 실험이어서 아는 분들이 많이 계실텐데요. 어린 아이들에게 '하나의 마시멜로.. 2024. 5. 23.
[심리용어] 샐리의 법칙(Sally's law)이란 무엇일까요? 오늘은 샐리의 법칙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샐리의 법칙은 일이 뜻밖에도 유리하게 진행되거나, 어떤 부정적인 일이 일어나더라도 결국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행운의 연속을 말합니다. 머피의 법칙에서의 비관적인 전망과는 반대로, 샐리의 법칙은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아가는 행운의 연속과 같다는 낙관적인 전망의 관점입니다.  1989년 작, 롭 라이너 감독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 를 통해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맥 라이언이 연기한 주인공 '샐리 올브라이트'는 인생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과 사랑과 행복을 찾을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입니다. 영화 속 주인공들이 친구에서 연인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마치 이 둘을 돕듯이 연달아 좋은 방향으로만 일들이 이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이런 상황들을 영화 여주.. 2024. 5.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