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sychology

[심리용어] 리셋 증후군(Reset Syndrome)이란 무엇일까요?

by Lena.Cho 2024. 7. 23.
728x90
반응형

리셋 증후군
이미지 출처 freepik

 

리셋 증후군(Reset Syndrome) : 현대인의 마음 속에 리셋 버튼이?

오늘은 심리학에서 주목받고 있는 흥미로운 주제인 리셋 증후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스트레스가 많은 일상 속에서 우리 모두 한 번쯤은 느껴 봤을 법한 증상인데요, 과연 이 리셋 증후군이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볼게요.

 

리셋 증후군(Reset Syndrome)현대사회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심리적 현상으로, 우리가 어떤 문제나 스트레스를 마주했을 때 그것을 해결하기보다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 싶어하는 심리적 경향을 말합니다. 마치 컴퓨터가 느려지거나 에러가 났을 때, '리셋' 버튼을 눌러서 모든 것을 초기화하듯이, 우리도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이런 리셋을 꿈꾸게 됩니다.

 

이 증후군은 특히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자주 나타납니다. 이들은 종종 실패나 실수를 견디기 힘들어하고, 그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모든 것을 새로 시작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작은 실수를 했다거나, 인간관계에서 사소한 오해가 생겼을 때, 아예 새로운 직장이나 새로운 관계를 시작하고 싶어하는 식입니다.

 

리셋 증후군의 등장

리셋 증후군이라는 용어는 최근 심리학 및 자기계발 분야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개념입니다. 이 용어는 디지털 시대의 급변하는 환경과 관련된 심리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등장한 것으로 보입니다.

  1. 디지털 환경의 영향 :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합니다. 이 디지털 기기들은 문제가 생겼을 때 쉽게 '리셋' 버튼을 눌러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술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우리의 일상에 깊이 자리를 잡으면서, 사람들은 심리적으로도 비슷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경향이 생겼습니다. 특히, 소프트웨어나 기기의 버그가 생겼을 때에 초기화함으로써 쉽게 문제를 해결해본 경험은, 사람들로 하여금 개인적 문제나 실패 상황에서도 '리셋'을 꿈꾸게 만듭니다.
  2. 현대 사회의 스트레스와 압박 :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경쟁이 치열한 환경, 그리고 높은 성과를 요구하는 문화 속에서 사람들은 끊임없이 스트레스와 압박을 느끼고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없애기 위해 고민을 하는 것조차 스트레스가 되어버리는 이러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단순하고 직관적인 해결책으로 '리셋'이라는 개념이 자연스럽게 떠오르게 됩니다. 실패나 실수에 대한 두려움, 완벽주의, 그리고 높은 기대치로 인해 생기는 부담감은 리셋 증후군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3. 심리학 및 자기계발 분야의 관심 : 심리학자들과 자기계발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관찰하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 '리셋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새로운 시작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하는 심리를 이해하고, 이를 보다 건강하게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함입니다.

 

반응형

 

왜 우리는 리셋 버튼을 누르고 싶어할까요?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하고 있고, 우리는 계속해서 새로운 정보와 자극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우리는 자주 스트레스와 압박감을 느끼고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해결책이 '리셋'입니다. 처음부터 다시 새롭게 시작하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 훨씬 쉬워 보이니까요. 

 

게다가, SNS나 인터넷의 발달로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완벽해 보이는 삶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끊임없이 타인의 삶과 나 자신을 비교하게 되고, 자신의 실수나 불완전함에 더 민감해지게 됩니다. 이럴 때 '리셋' 버튼을 눌러 모든 것을 새로 시작하는 것이 매력적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리셋 증후군의 장단점

[장점]

  • 새로운 시작의 기회 : 삶의 새로운 챕터를 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는 새로운 경험과 배움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 심리적 해방감 : 문제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단점]

  • 문제 회피 :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회피하게 되어, 같은 문제가 반복될 가능성이 큽니다.
  • 지속적인 불안 : 새로운 시작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실패와 실수를 두려워하게 되어 지속적인 불안을 겪을 수 있습니다.

 

728x90

 

리셋 증후군과 연관된 실제 사건

리셋 증후군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리셋 증후군 GTA 살인 사건리셋 증후군 아키하바라 무차별 칼부림 사건
리셋 증후군 덱스터 모방 살인 사건리셋 증후군 콜로라도 영화관 총기 난사 사건리셋 증후군 슬렌더맨 사건
리셋 증후군 대구 지하철 방화 사건리셋 증후군 세월호 참사 이후의 유족 자살

  1.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1999년) : 1999년 4월 20일, 콜로라도주 리틀턴에 있는 콜럼바인 고등학교에서 두 명의 학생, 에릭 해리스와 딜런 클레볼드가 총기 난사를 벌여 학생과 교사 등 13명을 살해하고 24명을 다치게 했습니다. 그들은 결국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해리스와 클레볼드는 학교에서 왕따를 당했고 사회적으로 소외감을 느꼈습니다. 그들은 동급생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했었고, 이것은 그들에게 심리적 상처를 입혔습니다. 이들은 현실에서의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보다는 이 상황을 끝내고 새로운 시작을 꿈꿨습니다. 두 사람은 인터넷과 비디오 게임 등 가상 세계에 몰두하며 현실에서의 문제를 잊으려 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분노와 좌절을 폭력적인 게임과 인터넷 게시판을 통해 표출했으며, 가상의 폭력을 현실에서 재현하려는 욕구를 키웠습니다. 그렇게 그들은 문제 해결을 위한 극단적인 방안으로 학교에서의 총기 난사와 자살을 선택했습니다. 두 사람이 사건 전에 남긴 일기와 비디오에 따르면, 그들은 죽음을 새로운 시작으로 여겼습니다. 특히 해리스는 자신의 일기에서,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한 리셋의 필요성을 자주 적어놓았다고 합니다. 이 사건은 리셋 증후군이 극단적으로 나타날 경우 얼마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신 건강 관리, 가상과 현실의 구분을 명확히 하는 교육, 그리고 주변 사람들의 관심과 지원이 중요합니다.
  2. GTA 살인 사건(2003년) : 2003년, 앨라배마주의 18세 소년 데빈 무어는 경찰관 2명과 911 디스패처 1명을 총으로 쏴 사망하게 했습니다. 체포된 후 무어는 자신이 비디오 게임 'GTA(Grand Theft Auto)'를 한 것이며, '삶은 비디오 게임과 같다. 모두가 죽게 되어 있다. 모두 죽여버려도 다시 살아날 거야'라는 말을 했다고 합니다. 무어는 현실의 문제와 스트레스를 비디오 게임과 같은 가상의 세계에서 해결하고자 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무어는 게임을 통해 폭력적인 행동을 모방했고, 자신이 실제로 사람을 죽였다는 생각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비디오 게임 속에서는 리셋 버튼을 눌러 다시 시작할 수 있지만, 현실에서는 그러한 선택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무어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3. 아키하바라 무차별 칼부림 사건(2008년) : 2008년 6월 8일, 일본 도쿄의 아키하바라 지구에서 한 남성이 트럭을 몰고 사람들을 향해 돌진했습니다. 트럭에서 내린 뒤에는 무차별적으로 사람들을 칼로 찌렀고, 이 사건으로 7명이 사망하고 10여 명이 부상당했습니다. 가해자인 도미히로 가토는 인터넷 게시판에 자신의 계획을 예고했으며, 비디오 게임과 인터넷 세계에 심취해 있었습니다. 그는 사회와의 단절을 느꼈으며 직장에서의 스트레스, 자신의 삶에 대한 절망감으로 인해 이러한 행동을 저질렀다고 밝혔습니다. 현실의 문제를 극복하기보다는 모든 것을 끝내고 새롭게 시작하고자 하는 욕구로 인해 이러한 사건을 일으킨 것으로 보입니다. 그는 인터넷에 자신이 겪고 있는 심리적 고통을 공유해왔으며, 현실에서의 실패와 스트레스를 가상 세계의 방식으로 리셋하려는 극단적인 행동으로 나타났습니다.
  4. 덱스터 모방 살인 사건(2009년) : 2009년 11월, 인디애나주의 17세 소년 앤드류 콘리는 자신의 10세 동생을 살해한 후, 자신은 TV 드라마 시리즈 '덱스터'의 주인공이라고 진술했습니다. '덱스터'는 살인자가 주인공인 드라마로, 콘리는 드라마의 영향을 받아 모방 행동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 전혀 죄책감을 느끼지 않았으며, 동생이 죽었다는 사실도 명확히 인식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5. 콜로라도 영화관 총기 난사 사건(2012년) : 2012년 7월 20일, 콜로라도주 오로라에서 열린 <다크 나이트 라이즈> 영화 상영 중 제임스 홈즈가 극장에 들어가 총기 난사를 벌여 12명이 사망하고 70명이 부상을 당했습니다. 홈즈는 영화 속 캐릭터인 조커와 자신을 동일시하며, 가상의 영화 속 세계를 현실에서 재현하려는 충동을 느꼈습니다. 그는 정신적 불안정 상태에서 현실과 가상을 혼동하며, 현실의 문제를 끝내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려는 심리적 경향이 있었습니다. 
  6. 슬렌더맨 사건(2014년) : 위스콘신주에서 12세 소녀인 아네사 웨어와 모건 게이저가 친구를 숲으로 유인해 흉기로 공격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들은 인터넷 밈인 '슬렌더맨'에 집착했고, 슬렌더맨에게 충성을 맹세하기 위해 친구를 제물로 바쳐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이 소녀들은 현실의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인터넷의 가상 세계에서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칼에 찔린 친구가 고통에 비명을 지르자 이 둘은 이것이 현실이라는 것을 깨닫고 도망쳤다고 합니다. 두 소녀는 슬렌더맨의 존재를 믿음으로써 현실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작을 꿈꾼 것으로 보입니다. 
  7. 대구 지하철 방화 사건(2003년) : 2003년, 대구에서 한 남성이 지하철에 불을 질러 192명이 사망했고, 151명이 부상을 당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범인은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였으며, 사회적 고립과 이에 대한 불만을 품고 있었습니다. 범인은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고립감으로 인해 극단적인 행동을 결심합니다. 그는 자신이 처한 현실을 극복할 수 없다고 느꼈고, 이를 끝내기 위해 방화를 저질렀습니다. 
  8. 세월호 참사 이후의 유족 자살(2014년) :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많은 사람들이 큰 충격과 트라우마를 겪었습니다. 특히, 사고로 가족을 잃은 유족들 중 일부는 깊은 절망과 슬픔에 빠져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도 했습니다. 가족을 잃은 유족들은 현실에서의 극복할 수 없는 슬픔과 고통을 겪었습니다. 이들은 현재의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자살을 선택함으로써 모든 것을 끝내고자 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도 리셋 증후군과 관련된 극단적인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현실에서의 문제와 스트레스를 해결하기보다는 모든 것을 끝내고 다시 시작하고자 하는 심리적 경향이 얼마나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신 건강 관리와 더불어 사회적인 지원, 그리고 현실과 가상을 명확히 구분하는 교육이 중요합니다.

 

리셋 증후군 극복하기

  1. 문제 직면하기 : 문제가 생겼을 때, 도망가려 하기보다는 문제를 직면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우리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 장기적으로 더 큰 자신감을 줍니다.
  2. 작은 변화 시도 : 큰 리셋 대신, 작은 변화를 시도해보세요. 새로운 취미를 시작하거나, 일상에 작은 변화를 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새로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현실적인 기대 설정 : 완벽을 추구하기보다는 현실적인 기대를 설정하고, 실수와 실패를 성장의 과정으로 받아들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리셋 증후군은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겪을 수 있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중요한 것은 이 증후군을 잘 이해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입니다. 우리가 어떤 문제에 직면했을 때, 도망가는 대신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우리는 더 큰 성장과 만족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도 자신의 삶에서 리셋 버튼을 누르고 싶은 충동을 느낄 때, 한 번 더 깊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728x90
반응형